문재인 지지율 대통령 갤럽 하락 4월5일
2019년 4월 5일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수행 지지율이 41%까지 떨어졌답니다. 반면 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직무를 잘못수행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49%까지 치솟았습니다.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과 최근에 불거진 인사 문제가 악재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.
4월 5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2019년 4월 첫째 주(2~4일) 국민 1003명에게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 여부를 물은 결과 41%가 긍정 평가했답니다. 하지만 49%는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해 부정 평가했답니다. 나머지 9%는 의견을 유보했습니다(어느 쪽도 아님 4%, 모름/응답거절 5%).
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주 대비 2%포인트 하락, 부정률은 3%포인트 상승했습니다. 직무 긍정률 41%는 취임 후 최저치, 부정률 49%는 최고치입니다. 광주/전라에서는 69%로 높았으나 대구/경북(25%), 부산/울산/경남(37%), 서울(38%)은 대통령 직무 지지율이 낮았습니다. 인천/경기, 대전/세종/충청은 41%로 전국 평균과 같았답니다.
연령별로는 40대(51%)와 30대(48%)에서 비교적 높은 반면 60대 이상(30%)은 대통령에 대한 지지가 낮았답니다. 특히 자유한국당 지지층(긍정평가 3%, 부정평가 93%)에선 긍정평가가 3%에 불과한 반면 부정평가는 90%를 넘었답니다. 바른미래당 지지층(16%, 76%), 보수층(20%, 76%)에서도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부정평가가 매우 높았습니다.
반면 민주당 지지층(76%, 17%)과 진보층(68%, 25%)에서 긍정평가가 70% 안팎으로 높았고 정의당 지지층(54%, 38%)에서도 긍정평가가 50%를 넘었답니다. 중도층(40%, 49%)에서는 전국 평균과 비슷했습니다.
민생경제 문제와 북한 이슈가 역시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-부정평가를 갈랐답니다.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 평가자들(412명, 자유응답)에게 그 이유를 물었더니 '북한과의 관계 개선'(16%), '외교 잘함'(11%), '최선을 다함/열심히 한다'(8%), '복지 확대'(6%) 등의 대답이 많았답니다.
반대로 직무수행 부정 평가자들(489명, 자유응답)은 '경제/민생 문제 해결 부족'(38%), '북한 관계 치중/친북 성향'(14%), '일자리 문제/고용 부족'(6%), '인사 문제'(5%) 등을 주로 지적했답니다. 부정평가 이유에서 최근 두 주에 걸쳐 '인사 문제' 비중이 늘었는데 이는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와 김의겸 청와대 전 대변인 사퇴 영향으로 보입니다.